2024.04.20 (토)

  • 흐림속초12.9℃
  • 흐림15.3℃
  • 흐림철원16.4℃
  • 흐림동두천17.1℃
  • 흐림파주17.6℃
  • 흐림대관령8.8℃
  • 흐림춘천15.5℃
  • 비백령도14.0℃
  • 비북강릉12.7℃
  • 흐림강릉13.2℃
  • 흐림동해13.6℃
  • 비서울16.9℃
  • 비인천15.6℃
  • 흐림원주15.3℃
  • 비울릉도14.0℃
  • 비수원15.9℃
  • 흐림영월14.0℃
  • 흐림충주14.6℃
  • 흐림서산13.9℃
  • 흐림울진14.5℃
  • 비청주15.2℃
  • 흐림대전14.6℃
  • 흐림추풍령13.8℃
  • 비안동15.8℃
  • 흐림상주14.4℃
  • 흐림포항15.2℃
  • 흐림군산13.7℃
  • 비대구16.2℃
  • 비전주15.1℃
  • 비울산16.0℃
  • 비창원16.1℃
  • 흐림광주15.0℃
  • 비부산16.7℃
  • 흐림통영15.6℃
  • 비목포15.3℃
  • 비여수15.2℃
  • 비흑산도13.6℃
  • 흐림완도15.1℃
  • 흐림고창15.3℃
  • 흐림순천13.1℃
  • 비홍성(예)14.3℃
  • 흐림13.9℃
  • 흐림제주18.6℃
  • 흐림고산15.9℃
  • 흐림성산16.2℃
  • 비서귀포16.4℃
  • 흐림진주13.8℃
  • 흐림강화16.0℃
  • 흐림양평14.8℃
  • 흐림이천14.4℃
  • 흐림인제13.4℃
  • 흐림홍천14.5℃
  • 흐림태백10.6℃
  • 흐림정선군13.4℃
  • 흐림제천13.9℃
  • 흐림보은14.9℃
  • 흐림천안14.6℃
  • 흐림보령15.6℃
  • 흐림부여14.5℃
  • 흐림금산14.3℃
  • 흐림14.9℃
  • 흐림부안14.0℃
  • 흐림임실13.0℃
  • 흐림정읍13.9℃
  • 흐림남원13.1℃
  • 흐림장수13.5℃
  • 흐림고창군14.6℃
  • 흐림영광군15.5℃
  • 흐림김해시16.7℃
  • 흐림순창군13.8℃
  • 흐림북창원16.6℃
  • 흐림양산시17.5℃
  • 흐림보성군15.7℃
  • 흐림강진군15.2℃
  • 흐림장흥14.9℃
  • 흐림해남15.6℃
  • 흐림고흥15.5℃
  • 흐림의령군14.5℃
  • 흐림함양군12.9℃
  • 흐림광양시13.8℃
  • 흐림진도군15.3℃
  • 흐림봉화15.0℃
  • 흐림영주15.2℃
  • 흐림문경14.5℃
  • 흐림청송군15.1℃
  • 흐림영덕15.4℃
  • 흐림의성15.6℃
  • 흐림구미16.3℃
  • 흐림영천15.6℃
  • 흐림경주시15.4℃
  • 흐림거창12.4℃
  • 흐림합천14.5℃
  • 흐림밀양16.7℃
  • 흐림산청12.8℃
  • 흐림거제15.5℃
  • 흐림남해14.0℃
  • 흐림18.3℃
기상청 제공
교수의 SNS에 '동물사체 사진'이 가득한 이유
  • 해당된 기사를 공유합니다

고양이 에세이

교수의 SNS에 '동물사체 사진'이 가득한 이유

 

인류학 교수이자 동물 사진작가로 활동하는 아만다 씨의 인스타그램은 화려하고 예쁜 동물 사진으로 가득합니다. 하지만 사진들을 몇 개만 구경해도 이상한 점을 발견할 수 있는데요.


전부 세상을 떠난 동물의 사체들입니다.

 

batch_01.jpg

 

동물을 아주 좋아하는 아만다 씨는 야생 동물의 죽음과 맞닥트릴 때마다 안쓰러운 마음에 숙연해지곤 했습니다. 그녀가 할 수 있는 거라곤 세상을 떠난 녀석들의 몸 위에 꽃을 얹어 추모해 주는 것뿐이었습니다.


그리곤 이 모습을 사진으로 촬영해 인스타그램에 공개하기 시작했습니다.

 

 

batch_02.jpg

 

그러자 동물의 죽음을 작품으로 이용하는 것 아니냐는 비판이 나오기도 했는데요. 아만다 씨는 이에 대한 자신의 생각을 명확하게 밝혔습니다.


"녀석들도 철없이 까불던 시절이 있었고, 또 가족이 있었습니다. 우리처럼 두려운 감정도 있고, 좋아하는 감정도 있었죠. 우리처럼 각각 다양한 사연도 있을 것입니다."

 

 

batch_03.jpg

 

"하지만 우리 주변에서 동물의 죽음 그런 시선으로 바라보는 사람은 많지 않습니다. 그저 동물, 그저 죽은 동물, 그저 살아있지 않은 것으로 대하곤 합니다. 동물을 사체를 봐도 아무런 감정이 없습니다.


단지 동물로만 바라보는 게 아니라, 우리와 동등한 생명으로 바라보아야 합니다. 사진 속 동물들은 단지 죽은 동물의 사체가 아니라, 한때 까불고 한때 가족이 있었던 삶이었습니다."


동물의 사체를 바라보는 사람들의 시선을 바꾸고 싶었고, 또 이를 알리기 위해 사진을 공개하기로 했습니다."

 

 

batch_04.jpg

 

또한, 그녀는 인간도 자연이라는 거대한 기계의 작은 톱니바퀴라는 것을 강조했는데요. 바닥에 떨어진 나뭇가지, 흙, 바위 그리고 생명의 탄생과 죽음 모두 하나로 연결된 자연이라는 것이죠.


그러나 우리는 인류가 자연의 시스템에 속하지 않는 특별한 존재인 것처럼 행동하고 말하고 생각하고 있습니다. 아만다 씨는 그 예로 동물의 로드킬을 들었습니다.


"우리가 차에 치여 도로에 쓰러진 사람을 본다면 로드킬이라는 표현을 쓸 수 있을까요?"


즉, 이런 일상 단어에서 알 수 있듯 우리는 동물의 생명을 무감각하고 아무런 감정 없이 바라보는 데 익숙해져 있다는 것이죠.

 

 

batch_05.jpg

 

그녀의 인스타그램에는 포식자가 다른 생명들을 얼마나 잔인하게 죽이는지 아느냐며 조롱 가득한 댓글이 달리곤 합니다.


아만다 씨는 이에 대해서도 자신의 생각을 밝혔습니다.


"저는 학자이자 과학자이기도 합니다. 생태계 시스템을 부정하는 건 아닙니다. 단지 동물의 삶 하나하나를 들여다보고 존중하자는 것이지요. 몇몇 사람은 '생명을 존중하는 것'을 자'연을 거스르는 것'인 것처럼 얘기하지만 그렇지 않습니다. 생명을 존중하면서 건강한 생태계를 유지하는 것은 충분히 공존 가능하다고 믿습니다. "

 

 

batch_06.jpg

 

우리나라에서도 '산 채로 도살당하는 개'나 '비명이 가득한 도살장에서 차례를 기다리며 공포에 떠는 열악한 가축 환경' 등을 고발하는 기사에 '여기서 슬퍼하고 집에 가서 치킨 먹겠지'라며 안타까워하는 사람들을 조롱하는 댓글이 달리는 건 마찬가지인데요.


이는 '학대를 반대하면 육식을 반대하는 것이다'라는 흑백논리에서 비롯된 비판에 가깝습니다. 동물복지와 육식은 반대개념이 아닙니다. 가축이라도 고통 없이 도살하고, 사육 과정에서는 불필요한 학대를 없애는 것이 동물복지의 취지입니다. 그것이 닭, 소, 돼지라고 할지라도 말이죠!


글 제임수

사진 Bored Panda, 인스타그램/AmandaStronza


© 꼬리스토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인류학 교수이자 동물 사진작가로 활동하는 아만다 씨의 인스타그램은 화려하고 예쁜 동물 사진으로 가득합니다. 하지만 사진들을 몇 개만 구경해도 이상한 점을 발견할 수 있는데요. 전부 세상을 떠난 동물의 사체들입니다.     동물을 아주 좋아하는 아만다 씨는 야생 동물의 죽음과 맞닥트릴 때마다 안쓰러운 마음에 숙연해지곤 했습니다. 그녀가 할 수 있는 거라곤 세상을 떠난 녀석들의 몸 위에 꽃을 얹어 추모해 주는 것뿐이었습니다. 그리곤 이 모습을 사진으로 촬영해 인스타그램에 공개하기 시작했습니다.       그러자 동물의 죽음을 작품으로 이용하는 것 아니냐는 비판이 나오기도 했는데요. 아만다 씨는 이에 대한 자신의 생각을 명확하게 밝혔습니다. "녀석들도 철없이 까불던 시절이 있었고, 또 가족이 있었습니다. 우리처럼 두려운 감정도 있고, 좋아하는 감정도 있었죠. 우리처럼 각각 다양한 사연도 있을 것입니다."       "하지만 우리 주변에서 동물의 죽음 그런 시선으로 바라보는 사람은 많지 않습니다. 그저 동물, 그저 죽은 동물, 그저 살아있지 않은 것으로 대하곤 합니다. 동물을 사체를 봐도 아무런 감정이 없습니다. 단지 동물로만 바라보는 게 아니라, 우리와 동등한 생명으로 바라보아야 합니다. 사진 속 동물들은 단지 죽은 동물의 사체가 아니라, 한때 까불고 한때 가족이 있었던 삶이었습니다." 동물의 사체를 바라보는 사람들의 시선을 바꾸고 싶었고, 또 이를 알리기 위해 사진을 공개하기로 했습니다."       또한, 그녀는 인간도 자연이라는 거대한 기계의 작은 톱니바퀴라는 것을 강조했는데요. 바닥에 떨어진 나뭇가지, 흙, 바위 그리고 생명의 탄생과 죽음 모두 하나로 연결된 자연이라는 것이죠. 그러나 우리는 인류가 자연의 시스템에 속하지 않는 특별한 존재인 것처럼 행동하고 말하고 생각하고 있습니다. 아만다 씨는 그 예로 동물의 로드킬을 들었습니다. "우리가 차에 치여 도로에 쓰러진 사람을 본다면 로드킬이라는 표현을 쓸 수 있을까요?" 즉, 이런 일상 단어에서 알 수 있듯 우리는 동물의 생명을 무감각하고 아무런 감정 없이 바라보는 데 익숙해져 있다는 것이죠.       그녀의 인스타그램에는 포식자가 다른 생명들을 얼마나 잔인하게 죽이는지 아느냐며 조롱 가득한 댓글이 달리곤 합니다. 아만다 씨는 이에 대해서도 자신의 생각을 밝혔습니다. "저는 학자이자 과학자이기도 합니다. 생태계 시스템을 부정하는 건 아닙니다. 단지 동물의 삶 하나하나를 들여다보고 존중하자는 것이지요. 몇몇 사람은 '생명을 존중하는 것'을 자'연을 거스르는 것'인 것처럼 얘기하지만 그렇지 않습니다. 생명을 존중하면서 건강한 생태계를 유지하는 것은 충분히 공존 가능하다고 믿습니다. "       우리나라에서도 '산 채로 도살당하는 개'나 '비명이 가득한 도살장에서 차례를 기다리며 공포에 떠는 열악한 가축 환경' 등을 고발하는 기사에 '여기서 슬퍼하고 집에 가서 치킨 먹겠지'라며 안타까워하는 사람들을 조롱하는 댓글이 달리는 건 마찬가지인데요. 이는 '학대를 반대하면 육식을 반대하는 것이다'라는 흑백논리에서 비롯된 비판에 가깝습니다. 동물복지와 육식은 반대개념이 아닙니다. 가축이라도 고통 없이 도살하고, 사육 과정에서는 불필요한 학대를 없애는 것이 동물복지의 취지입니다. 그것이 닭, 소, 돼지라고 할지라도 말이죠! 글 제임수 사진 Bored Panda, 인스타그램/AmandaStronza © 꼬리스토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인기기사